선 요약 :
https://www.youtube.com/intl/ko/yt/about/policies/#community-guidelines
여기 잘 정리 되어 있다. 여기 보고 참고 하자.
메타데이터(metadata)는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를 뜻합니다.
동영상 콘텐츠 위반
음란물이나 선정적인 콘텐츠
편파적 발언 또는 욕설
과도한 욕설 또는 노골적인 폭력 장면
유해하거나 위험한 활동 프로모션
메타데이터 정책 위반을 보고...
~~~~~~~~~~~~~~~~~~~~~~~~~~~~~~~~~~~~~~~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311392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311392?hl=ko
메타데이터 위반
사용자를 현혹하거나
부정확한 동영상 미리보기 이미지, 제목, 태그, 카테고리
Metadata violations
Video thumbnails, titles, tags, and categories that are misleading or inaccurate
오해의 소지가 있는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지 말 것
동영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메타데이터를 동영상에 포함하지 마세요.
설명 또는 태그에 인기 검색어나 이름을 사용하여 조회수를 올리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메타데이터에 동영상과 관련이 없는 이름이나 단어가 포함될 경우 경고를 받을 수 있고 동영상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예: 동영상의 소재가 케이크 굽기이며
인기 가수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경우,
태그나 설명에 인기 가수의 이름을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이렇게 하면 신고가 접수될 시 동영상 삭제 조치와 함께 경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가이드 준수' 란에서 위처럼 항목이 써 있더라고요.
이 말을 좀 다시 생각해보면,
'시청자 낚기' = '신고 대상' 이라고 봐도 될까요?
예를 들어
제목에 "대박! 1,000마디 말하는 앵무새와 대화하다"
내용은 "아무 말 하지 않은 새 앞에 놓고 재미없는 잡담하기"
이렇게 시청자들을 속이는 경우가 해당 된다고 봐도 될까요?
댓글을 달아주면
문화 상품권이나 돈을 준다는 식의 행위도 현혹시키고
정작 당첨은 안시키는 경우도 해당이 되는 지도 궁금합니다.
좀더 확실히 알아 놓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
'스팸,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메타데이터 및 사기'
스팸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오해를 일으키는 설명, 태그, 제목 또는 미리보기 이미지를 만들지 마세요.
댓글과 비공개 메시지를 포함하여 불특정 대상의 콘텐츠, 원치 않는 콘텐츠 또는 반복적인 콘텐츠를
대량으로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https://www.youtube.com/intl/ko/yt/about/policies/#community-guidelines
이 경우에 더 가깝게 해당됨.
+ 추가로 알아야 할것
메타데이터 권장사항
메타데이터는 동영상 제목, 설명, 태그, 특수효과와 같은 동영상 관련 정보입니다.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YouTube에서 검색할 때 내 동영상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YouTube를 원활하게 이용하려면 다음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세요.
오해의 소지가 있는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지 말 것
동영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메타데이터를 동영상에 포함하지 마세요.
설명 또는 태그에 인기 검색어나 이름을 사용하여 조회수를 올리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메타데이터에 동영상과 관련이 없는 이름이나 단어가 포함될 경우 경고를 받을 수 있고 동영상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예: 동영상의 소재가 케이크 굽기이며
인기 가수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경우,
태그나 설명에 인기 가수의 이름을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이렇게 하면 신고가 접수될 시 동영상 삭제 조치와 함께 경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설명에 태그를 넣지 말 것(태그 끼워 넣기)
태그는 동영상을 분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단어나 짧은 문구입니다.
태그를 적절히 사용하면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통해 사용자의 동영상 검색이 쉬워집니다.
YouTube는 동영상 업로드 시 태그 섹션에 태그를 넣을 기회를 제공합니다.
태그는 태그 섹션에만 넣어야 하며 설명에 넣을 수 없습니다.
설명에 태그를 넣는 행위를 태그 끼워 넣기라고 하며 이로 인해 동영상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맥락 제공
특히 콘텐츠가 시청하기에 난해하거나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경우
시청자에게 동영상의 가치를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영상의 시청 가치를 육하원칙에 따라 기재하세요.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동영상의 가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동영상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더라도 YouTube 검토팀에서 합리적으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맥락이 중요한 이유를 자세히 알아보세요.
Ad violations
Clicking on your own ads for any reason
Encouraging others to click your ads
Using deceptive implementation methods to obtain clicks
Using third-party sites and tools
Employing or commissioning third party sites and tools to artificially or manually generate subscribers or views
Embedding third party advertising, sponsorships, or promotions placed on or within your video content
Selling your YouTube account and/or partner channel via third-party sites for monetary profit
Manipulating or incentivizing others to click on video features such as “Like” or “Favo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