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공식 채널 왈 :
편집본, 믹스, 노래선곡모음, 다른 창작물의 캐릭터 
다루면 어워즈 대상에서 제외가 된다고 함
다시말해서, 
오리지널 컨텐츠 다루라 함
남의 거 다루면 실버버튼 안 준다고함


유튜브에서 권장하는 컨텐츠 :
여행기 기록
얼굴 보여주며 철학 얘기
요리강의
고양이 영상
인터뷰
먹방
과학 실험
제품 리뷰
컴퓨터 견적 짜기
몰래카메라
자작 애니
1인 짤막 코메디
마술쇼
역사 이야기


유튜브에서 안 권장하는 컨텐츠 :
게임 플레이
사이버 렉카
뒷담화
일본 애니 편집본
영화 해설
음악 모음집
커버송

+

 

 

 


게임에서 만난 사회 부적응자

aos 게임에서 :
팀원 중 못하는 놈이 딜러인데
탱커인 내 탓을 함
특이 탱커 고르면 특이하다는 이유로 내 탓을 함
남탓충 너무 많음


pvp rpg 게임에서 :
자기한테 져 달라고 함
서로 윈윈 거래가 아닌 자기한테 유리하게 하라고 함
어린애같고 징징거리는게 꼴보기 싫음
+
아닌데요? 하며 상대 부정하는 말을 함
+
아 나 파이어볼 꼈구나
이번엔 아이스볼트 껴본다
라이트닝볼트 공90 ㅋㅋㅋ
이렇게 혼잣말함


배운점 :
상대가 침묵한다고 할 땐 조르지 말자
추해보인다



사회 생활하다보면

손님, 상사, 동료, 후임 중 진상이 자주 보인다

그래서 '뭔 저런 또라이 새끼가 다 있지' 하며 욕 나온다

 

 

그림 그리기도 도파민 놀이다

 

뭔가 결과가 잘 안나올 때 = 몬스터 잡는 중

이번 결과는 잘 나왔을 때 = 던전 클리어

 

 

우리는 나보다 잘난 사람만 보게되지만

나보다 못난 사람도 많고

나랑 동급인 사람도 많다

 

 

사회생활에선

감성형 인간, 아무말 막 하는 인간이 너무 많다

이런 애들이 사이코 패스고 사회부적응자들이다

이들은 세상에서 없어져야 하는 존재다

 

 

 

마술은 스테이지 뒤에서 보면 트릭이 다 보인다

근데 방청객석에서 보면 트릭이 안보인다

우리 삶도 마술과 같다

 

내 위치에선 이렇게 이렇게 해석되지만

다른 사람 입장에선 다르게 해석됨

 

 

과학자들이 나와서 텐션 낮추고 이야기하는 티비 프로그램은

개씹 노잼이고 졸린다

 

근데 수요가 많다

왜냐면 조용한 거 좋아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외향인들은 과학자같은 내향인들을 좋아한다

자기가 가지지 못하는 차분함, 정리된 마인드를 가졌기 때문이다

 

 

반응형
Posted by 이름이 익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