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 지피티한테 이렇게 입력어를 말하면
창의적인 결과를 말해준다

랜덤하고 예상치 못한 
아트요소 2개를 섞어줘 
예를 들면 하늘을 나는+고래 라던지

불에 미치는 악어와 물고기
서핑과 눈썰매
산타와 뱀
늑대와 사과
용과 토끼
박쥐와 꽃게

 

 

+

 

 


여러분 오늘 날씨 우중충하죠?
잘자요 안뇽~

영상속에서 이러는 건 감성충의 실수다

틀렸다
시청자 입장에선
날씨가 맑을 수도 있고 
잘 시간도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선생을 향해서
너 조금만 잘못해봐라
바로 틀린점 지적해버릴거야!
이게 바로 비판적 사고방식이다
선생 입장에서 빡치지만
현대인 가져야 할 좋은 태도임
선동당함의 반대개념이기 때문


숫자 7부터 '많다'라고 인식됨
그래서 스킬 미사일 설정시 7개로 하면 최적화에 맞음



눈코입은 얼굴박스의 앞면이고
광대뼈와 턱은 박스의 옆면이다
이렇게 얼굴은 옆면이 나뉘어진다



얼굴 사진을 보면
콧구멍 한 쪽은 둥그런데
콧구멍 한 쪽이 1자가 되어 어색해보인다
원래 그게 실사다
애니 그림체가 틀린거고 실사 사진이 맞는거다


그림그릴 때는
단순한 그림체라 할 지라도 세세한 디테일이 중요하다
두개골이 턱보다 커야 함
두개골이 턱이랑 크기가 비슷하면 괴물같아보임

콧망울, 입꼬리, 귀와 광대 연결부위 이런 디테일한 곳도 신경써야 함

 

+

 

 

세팅 이라는 건 중요하다

 

전등 불을 끄기 / 키기

두 가지의 선택이 있다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불 끄기 불 키기
잠 잘때 편안함 잠 잘때 방해됨
물건 인식이 힘듦 물건 찾을 때 좋음
야행성 동물의 활동 야행성 동물 활동방해
   

불 끄기랑 불 키기 둘 중 정답은 없다

둘 중 뭘 선택할 지는 인간의 몫이다

 

 

전등불 뿐만 아니라,

작업 순서는 어떻게 할 건가,

어느 땅에 도시를 지을 건가

이런 선택엔 정답이 없음

 

 

그래서 로봇이 지정 못함

로봇이 한다면 랜덤값을 지정할 뿐임

또는

다수결로 판단된 걸 그냥 수행할 뿐임

 

 

게임 캐릭터는 양산형을 키워야 한다

: 득표율 90%

게임 캐릭터는 양산형이 아니라 개성캐를 키워야 한다

: 득표율 10%

로봇은 전자를 선택하는 이런 오류를 저지름

후자가 올바른 선택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

 

 

사람의 인생 루트

 

 

평안한 인생

개 발정남

단체 오르기

성병

영원한 가려움증에 시달림

 

 

 

+

 


아메리칸 스타일 음식 특징

사이즈는 초대형
기름에 튀기고
달달한 잼 같은거를 바름



junk food
설탕과 기름만 있고
단백질 없고
야채도 없어서 영양가 없는 식단



의사들의 크릴오일 먹어라~ 무슨씨 먹어라~
이런 마케팅의 원조는 미국의 베이컨 마케팅이다

의사들이 베이컨 먹으라 권한건 아니고
아침 식사먹어라~
이렇게만 말했음


신문 기사에 이에 이어서
아침식사의 좋은 예시는 베이컨을 먹는 것이다
이렇게 한줄 이어서 적음


마치 베이컨은 건강에 좋다
라고 하는 거랑 같았음

그래서 베이컨 마케팅(의사 마케팅)이 성공했다


+

 

 

범위가 좁아져야 깊이감이 생기고 자극이 생긴다

 

서양인이 나한테 아시아인의 외형 역사에 관한 책을 보여주면

반응이 시큰둥해진다

나한테 한국사람의 디시 말투에대한 책을 보여주면

어 이놈봐라? 하며 놀란다

 

 

 

반응형
Posted by 이름이 익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