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출처 : 

https://namu.wiki/w/%EB%B9%84%EB%94%94%EC%98%A4?from=%EB%8F%99%EC%98%81%EC%83%81




이미지 :



png  무손실 압축 포맷, 투명도 표현 ㅇㅋ

PCX, GIF ,raw WebP 도 무손실 압축이다.


jpg  낮은 용량, 깨지는 화질

https://namu.wiki/w/%EB%AC%B4%EC%86%90%EC%8B%A4%20%EC%95%95%EC%B6%95%20%ED%8F%AC%EB%A7%B7



굴림체는 ㅇ 이응이 너무 납작해서 어색해보임

궁서체, 바탕체는 서체 끝에 꾸밈, 데이터가 많아서 보기에 집중이 힘듦

고딕체는 흐려서 뿌얘보일 수 있다.

그래서 웹상에선 돋움체(노효과)를 자주 씀

동영상 내 자막에선 맑은 고딕, 고딕, 돋움체 등이 자주 쓰임




영상 : 






해상도

유튜브 방송용으론 HD, FHD 가 자주 쓰임


https://namu.wiki/w/%ED%95%B4%EC%83%81%EB%8F%84/%EC%9D%BC%EB%9E%8C#s-2.4



h264 레벨과 해상도





동영상 무손실 압축 포맷 :

HuffYUV  Lagarith  MSU  MagicYUV



아날로그 티비 관련 포맷: NTSC  PAL  SECAM

디지털 티비 관련 포맷 : ATSC DVB DMB[1]  ISDB DTMB



유튜브용 관련 포맷 정보 :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722171

h.264

가능 초당 프레임 레이트 :  24, 25, 30, 48, 50, 60

16:9 비율

mp4 포맷 

(.MOV .MPEG4 .AVI .WMV .MPEGPS .FLV

3GPP WebM DNxHR ProRes CineForm HEVC (h265)) 도 호환 가능)

오디오 스테레오 384 kbps / 5.1 512 kbps

샘플레이트 48khz 또는 96khz

채널 스테레오 또는 5.1 + 스테레오




MPEG 중 mp4

mp4 컨테이너는 H.264 영상을 찍는 스마트폰, 캠코더, 디카를 이용하여 널리 퍼졌다.


MOV 애플 사 형식, QuickTime Movie라고도 한다


OGG OGV

음악/영상 둘 다 지원하는 포맷

확장자는 .ogv, .oga, .ogx, .ogg, .spx 등이 있다.




컬러그레이딩 (Color Grading) , 필터 넣기 , 컬러 조절

https://namu.wiki/w/%EC%BB%AC%EB%9F%AC%20%EA%B7%B8%EB%A0%88%EC%9D%B4%EB%94%A9

ex 색채를 낮춰 무게감, 절박함, 창백함을 강조시킴

ex 하늘을 푸르게, 건물 색을 짙게 조절하여 밝은 분위기를 만듦


크로마키 (그린,블루스크린)

투명 영상 소스로 쓰임, 외곽선이 초록/파랑색으로 나오는 단점이 있음

프리미어 프로로 different matte와 배경(피사체없이)응용해서 외곽선 없이 쓰기 : https://youtu.be/on0kw-5qk5A

애팩 color key 여러번 적용해서 외곽선 없애기 : https://youtu.be/qA6HDKwx0CM

애팩 세부적인 효과들을 써서 완전히 줄이기 : https://youtu.be/b6aXY27fSSA


복셀 Voxel

픽셀 도트를 3차원으로 구현


모션캡처

실제 사람의 움직임을 저장해서 cg 인물에게 입힘


인코딩

GPU 가속을 거치지 않고 인코딩을 해야 가장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있다,

화질보다 속도가 우선이면 GPU가속을 쓴다

동영상의 형식을 바꾸는 일

FFmpeg 인코더가 짱임. : http://www.ffmpeg.org/


GPU가속 인코딩

인텔 퀵싱크, CUDA, NVENC, OPENCL, VCE

모두 속도는 빠르지만 화질 저하가 있다.


촬영시 빛이 많아야 함

빛이 없으면 꾀죄죄해보이고 흐리고 피사체가 잘 안보임

일조량 가장 많은 때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오후1~3시



반응형
Posted by 이름이 익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