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질된 게임의 정의
그 외 일기,교훈 2018. 1. 6. 16:30 |한계성
개발자는 유저에게 보상을
100% 한꺼번에확 주지 않고
한정적으로 풀어 줌
한계성이 느껴졌을 때 재미를 느낌
ex
스킬 포인트가 무한이면 모든 스킬 마스터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초딩겜이 된다.
김치 종특 악용
게임사들은
한국인 종특을 악용한다.
'외국어 사용 불가능' + '돈 안 씀'
그래서 한글로 출시하고 부분유료화 한다면
유저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바람의 나라, 메이플 스토리 , 던파 등
똥겜인데도 사람이 많은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유저가 똑똑하고 영어 할 줄 알고 돈도 많다면
스템겜하러 갔을 것이다.
추가로 말하자면,
'인터넷 공급이 잘 되어 있다.'
'홍보만 개같이 많이 하면 먹힌다'
'다른 게임 하러 안 떠나는 폐인 골수 유저들이 있다'
'공급보단 수요가 훨씬 많다.'
'한국은 땅이 좁아 뛰어놀 공간이 없다.'
'ㅅㅅ할 여건이 안되어 게임을 한다.'
등의 사실을 이용하기도 함.
재밌어서 하는 게 아님
재밌어서 하는 게 아니라
'남아 도는 시간을 떼워 할만한 것'
라고 말해야 게임에 가깝다.
승부욕만 자극되고 스트레스 쌓일 때도 있고
퀘스트만 산더미라 일하는 느낌을 받을 때도 많다.
반응형